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원 활동 콘텐츠

공연

제15회 한국10월문화제 종묘제례악
공연 제15회 한국10월문화제 종묘제례악

[All tickets have been registered. For information regarding the release of cancelled or extra tickets, please stay updated by following KCCHK's social media @kcchongkong.] [If you would like to register for wheelchair seats, please email to info@kcchk.kr.] The National Gugak Center of Korea will debut in Hong Kong with the 'Jongmyo Jeryeak, Ritual Music for Royal Ancestors' during the Festive Korea. Originating from the Joseon Dynasty, this 500-year-old ritual,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enacts ancestral rites with traditional attire, music and dance. The Court Music Orchestra of 50 performers will showcase the ritual's dance and music. Witness the solemnity and magnificence of this cultural marvel that offers a profound experience. Don't miss this rare chance to delve into Korea's rich heritage with the National Gugak Center of Korea. [One of the programs of “Asia+ Festival” 2025] - Suitable for ages six and above. - System will assign seats after specifying ticket quantity, maximum 4 tickets per transaction. You need to fill in names for each ticket holder. - The system will try its best to arrange adjacent seats for tickets in the same registration, but there may also be cases where the seats are not adjacent. Please check the assigned seats before confirming the registration. If you cannot accept the assigned seats, please do not confirm the registration. - Row BA, BB, BC and BD are seats with restricted views. Please do not confirm the registration if it is unacceptable to you. - Inquiries:22703500 / performance@kcchk.kr For more updates on the 15th Festive Korea's program, follow us on Instagram/Facebook  @kcchongkong

[공연] 신년음악회   2024
공연 [공연] 신년음악회 2024

🎉 [Soaring for Friendship: New Year's Concert 2024] Spectacular Event Alert! 🎉 Join us for an unforgettable New Year’s concert, where the worlds of Korea and Hong Kong collide in a harmonious celebration of music and friendship. Immerse yourself in the enchanting melodies performed by superstar violinist Soyoung Yoon and acclaimed cellists Woo Jiyeon, as they showcase their extraordinary talent alongside the remarkable HKGNA Young Virtuosi. Starring as the lead violinist is Soyoung Yoon, who has won numerous prestigious competitions and collaborated with renowned symphony orchestras from around the world. She is hailed as one of the most popular international violinists today. Under the skillful guidance of conductor/violinist Andrew Ling, this group of talented musicians will ignite the stage with passion and skill, taking everyone on a journey through the four seasons with Vivaldi's "The Four Seasons" violin concerto. They will also perform well-known pieces such as Bach's "Double Violin Concerto" and Kreisler's "Liebesfreud," among others. In addition, they have prepared a special surprise for the audience. Let the power of music unite us as we open up the New Year with boundless energy and contagious happiness. Don't miss this remarkable event, where cultures intertwine, and the joy of friendship fills the air. 🎻🎶🥳 Date: Wednesday, 7th February 2024 Venue: Jockey Club Auditorium,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Time: 7:30 pm Free Entry *Free Registration starting from Jan 15, Monday 10am on a first-come-first served basis, each application can apply up to 4 tickets* - Email address and names of the ticket holder have to be written on the registeration form - Successful applicants will receive the E-tickets through email by latest Jan 26. The QR code embeded in the ticket allows you to enter the campus and the auditorium - Successful submission of the form does not guarantee successful ticket application. Confirmation of receiving the ticket email is the sole criterion. Please remember to check your spam/junk mailbox.  - Children under the age of 6 are not allowed to enter (6 years old and above are permitted). Ticket Registration: https://forms.gle/i3iFfLmR7P3PWayq5  (Fully Booked) Shall you have any inquiries, please send an email to info@kcchk.kr or call 22703500 during office hour. 

[공연] 새 전통악가무 공연: 청월에 놀다
공연 [공연] 새 전통악가무 공연: 청월에 놀다

"New Traditional Korean Music Dance Performance: Playing under the Blue Moon" is a creative music and dance performance that revolves around the theme of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 Daeboreum (Full Moon of the Lunar New Year).  Yeonhee Group 'YEONHWA' reinterprets various traditional celebration rituals, games, music, and dances through their performances of instrumental music, singing, and dancing. By incorporating the rhythms and characteristics of Pungmul (Korean traditional folk music)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they create new beats and melodies, 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 vibrant modern style. Regardless of their age or background, audiences will be given an one and only chance to fully experience the vibrant and unique music, dance, and exciting energy of Korea. -About Yeonhee Group 'YEONHWA' :  Yeonhee Group 'YEONHWA' is a creative group centered on traditional percussion, instrumental music, and dance.  'YEONHWA' explores, questions, researches, and restores the traditional rhythm, melody, and spirit, and further conceptualizes the nature of these elements into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ased on this, it presents creative performances that appeal to contemporary audiences. It also seeks collaboration in various forms and continues to think about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at correspond with the current era. ●Date & Time: 24th November 2023, 7:30pm ●Venue: Studio Theatre, Hong Kong Cultural Centre ●Presented by Korean Cultural Center in Hong Kong ●Performance by: Yeonhee Group "YEONHWA" ●Free Admission(Online registration via art-mate from 2 Nov 2023, 10am. Each registration is limited to 2 slots, and each email is limited to one registration.) ○ Registration Link https://www.art-mate.net/doc/70668 ●The program will be conducted with short introductions in Korean with Cantonese translation ●Enquiry: info@kcchk.kr (Email)

[공연] K-Drama OST Live Concert
공연 [공연] K-Drama OST Live Concert

  FESITVE KOREA 2023: K-Drama OST Live Concert ●Date&Time: 18 Nov 2023 (Saturday)  2:30 & 7:30PM  (appx. 90min without intermission) ●Venue: Concert Hall, Hong Kong Cultural Centre  ●Presented by Consulate General of the Republic of Korea in Hong Kong, Korean Cultural Center in Hong Kong ●For aged 6 and above ●Live performance by MOST Orchestra ●Conducted by PARK Inyoung ●Artists: Sam Kim, Gaho, Kim Na Young, Gigi Yim, Barry Ip ●Free Admission (Online registration via Art-mate from 19 Oct 2023) ●Enquiry: performance@kcchk.kr (Email) ●Programmes My Destiny 《My Love from the Star(2014)》   Endless Story 《The World of the Married(2020)》   The Song for My Brother 《Crash Landing on You(2019)》       Mr. Sunshine 《Mr. Sunshine(2018)》        K-Drama OST Medley   Way Back Then 《Squid Game(2021)》   Light of Destiny 《Love in the Moonlight(2016)》   Flower Day 《Hwang Jini(2006)》   Onara 《Dae Jang Geum(2003)》   B Rossette 《Behind the White Tower(2007)》     Love Me Like That 《Nevertheless(2021)》 Sung by Sam Kim Breath 《It's Okay to Not Be Okay(2020)》 Sung by Sam Kim Summer Rain There For You 《Our Beloved Summer(2021)》 《Our Beloved Summer(2021)》 Sung by Sam Kim Sung by Kim Na Young At That Time 《When the Camellia Blooms(2019)》 Sung by Kim Na Young Say Goodbye 《Uncontrollably Fond(2016)》 Sung by Kim Na Young My Memory 《Winter Sonata(2002)》    Sung by Barry Ip Legendary Hong Kong Film Soundtrack Sung by Gigi Yim 是這樣的 《Days Of Being Wild(1990)》   Dreams 《Chungking Express(1994)》   蜚蜚  (Original Song "Back In Time") 《The Moon Embracing the Sun(2012)》 Sung by Gigi Yim In My Heart Yellow Light 《King the Land(2023)》 《King the Land(2023)》 Sung by Gaho Running 《Start-Up(2020)》 Sung by Gaho Start Over 《Itaewon Class(2020)》 Sung by Gaho *The programme list and orer are subject to change without prior notice depending on the presenter's circumstances. Experience the captivating world of Korean dramas and their iconic soundtracks at the highly anticipated "Festive Korea 2023: K-Drama OST Live Concert" on 18th November 2023 at Concert Hall, Hong Kong Cultural Centre. The hottest singers in the Korean drama soundtrack scene, Sam Kim, Gaho, and Kim Na Young, are coming to town this November to present the most mesmerizing moment exclusively for the Hong Kong audience. Along with the three singers, renowned composer/string arranger/conductor PARK Inyoung, a key figure in the Korean film and drama industry, will conduct the live performances by MOST Orchestra from Korea. The orchestra specializes in Drama OST music and consists of orchestra members and bands involved in producing OSTs. Starting from "Dae Jang Geum," the pioneer of the Hallyu drama wave, this unique concert promises to deliver unforgettable memories with enchanting melodies that have captivated the hearts of fans worldwide. Accompanied by iconic scenes from beloved K-dramas spanning different eras, from "Winter Sonata," "The Moon Embracing the Sun," "Descendants of the Sun,"  all the way to the recent hit "King the Land," this concert guarantees a mesmerizing experience for the audience. In addition, selected drama video scenes accompanied by live music will create a nostalgic experience and enhancing the audience's enjoyment. To make this concert a special platform for Asian pop culture exchange, a timeless classic Hong Kong film tribute stage will be presented. Furthermore, Cantopop stars Gigi Yim and Barry Ip will grace this concert with their special stages, adding an extra level of uniqueness to the event. Don't miss this extraordinary concert that combines evocative melodies and celebrates music's profound impact on our hearts and memories.   Note to Audience - If you are unable to attend the concert due to unforeseen circumstances, please cancel your ticket through art-mate for others.  - All tickets will be invalid 2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concert. - This program is suitable for audiences aged 6 and above.  - The concert runs 90 minutes without intermission.  - Some seats may have a restricted view due to the technical arrangement.  - Latecomers should wait at the designated area and can only enter the venue at certain time of the show.  - Eating or drinking is not allowed inside the Concert Hall, and bringing items that may disrupt the performanc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ED signs, lightstick, and other light emitting devices etc.) is prohibited.  - Photography, video and audio recording are strictly prohibited during the performance. Audiences may take photos during the curtain call as long as it does not disturb other audiences.  - Performers, programme list, and performance order may b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presenters' circumstances, without prior notice.  - Audience can place gifts and letters for the artists in the designated area at the reception of the Concert Hall. However, items that are difficult to store and easily damaged, such as flower baskets, bouquets, potted plants, and food, will not be accepted. (Please note Kim Na Young will not receive letters or gifts.) https://art-mate.net/doc/70294

전시

[전시] 키치 앤 팝: 한국적 팝아트의 현재
전시 [전시] 키치 앤 팝: 한국적 팝아트의 현재

주홍콩한국문화원은 2025년 10월 2일(목)부터 11월 22일(토)까지, 서울시립미술관과 공동으로 《키치 앤 팝: 한국적 팝아트의 현재》 전시를 개최한다. 본 전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의 2025년 투어링 케이-아츠 사업의 후원으로 상하이에서 홍콩으로 이어지는 순회전으로 마련되었다. 《키치 앤 팝: 한국적 팝아트의 현재》는 K-팝 및 K-컬처의 세계적 확산 속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온 ‘한국적 팝아트(Korean Pop Art)’를 동시대 미술의 맥락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음악, 패션, 영화, 식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하게 확장된 K-컬처의 흐름 속에서, 시각예술 기반의 문화적 확산을 시도하는 전시다. 이번 전시에서는 서울시립미술관 소장품과 함께, 2010년 이후 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젊은 작가들(돈선필, 추미림, 노상호, 심래정, 류성실, 우정수)의 신작과 2000년대 초중반 한국적 팝아트의 흐름을 보여주는 작가들(홍경택, 박미나, 김신혜)의 작업을 함께 소개한다. 전시는 ‘개별화된 팝’과 ‘쿨-키치’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개별화된 팝’은 2000년대 대량소비사회와 글로벌리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형성된 한국적 팝아트의 맥락을 설명하며, ‘쿨-키치’는 인터넷, 모바일, SNS, A.I 등 기술의 발달 속에서 젊은 작가들이 보여주는 독창적인 감각을 탐구한다. 10월 2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는 전시 개막 리셉션이 진행되었으며, 7시 개막행사에는 서울시립미술관 이보배 학예사 및 추미림 전시 참여 작가가 전시 투어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개막식에는 약 40여명의 미술인 및 일반 관람객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관람하고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전시] 2025 공모당선전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 전시 개최
전시 [전시] 2025 공모당선전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 전시 개최

▲ 포스터 주홍콩한국문화원은 2025년 8월 7일부터 9월 20일까지, 2025년 공모당선전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 작가 단체 ‘버건디(Burgundy)’ 소속 이주영, 김명종, 김정우, 정우진 작가가 참여하며, 정체성과 변화라는 핵심 개념을 ‘문’이라는 상징을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탐구한다. 전시 제목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별주부전에 등장하는 토끼에서 차용된 상징적 존재로, 각기 다른 세계로 진입하는 문을 은유한다. 홍콩의 역사적, 문화적 교차로로서의 상징성에 주목, 관람객이 낯선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여는 예술적 체험의 장으로서 기획되었다. ▲ 이주영 작가 작품 전시 전경 ▲ 이주영 작가 작품(Overlapping poetry (2025)) 전시 전경 참여 작가 이주영은 언어의 감각적 지연과 반복을 통해 정체성과 소통의 경계를 재사유한다. 영상 작업 《머뭇(Wading Through)》(2025)과 먹지 드로잉 연작 《murmur》(2025)는 불완전한 언어의 속성을 시각화하며 관람객에게 언어의 해방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김명종 작가 ▲김명종 작가 김명종은 혼합 매체를 활용해 현대 사회의 모순과 비정상성을 조명하며, 창작자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의 신작 《몽영극장: 산수정신당》(2025)과 각기 유교, 불교, 도교를 상징하는 상징하는 세계의 글자가 적힌 네온사인 《유불도 식당》(2025) 시리즈는, 우리가 마주한 순간의 이상향 그 이후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김정우 작가 ▲김정우 작가 김정우는 회화와 물질성에 대한 탐색을 통해 이미지와 실체 사이의 긴장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0》(2025)과 《Fragmented》(2025)를 통해 회화의 구성 요소들을 확장하거나 분절함으로써 관람자가 작품과 직접 접촉하고 감각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체험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정우진 작가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정우진은 인간의 존재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임을 전제로, “정체성”과 “변화”의 과정을 섬세하게 시각화한다.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통해 외부 환경이 인간의 내면에 어떤 흔적과 감정의 진동을 남기는지를 다층적으로 담아낸다.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8월 7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는 전시 개막 리셉션이 진행되었으며, 7시에는 전시 설치 및 개막식에 참석한 김명종, 정우진, 김정우 작가의 전시 및 작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개막식에는 약 40여명의 미술인 및 일반 관람객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관람하고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문화원 전시 공모 프로젝트는 잠재력 있는 한국 작가와 기획자를 홍콩에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시 공모는 문화원의 연례 프로젝트인 '한국 젊은 작가전'과 더불어 국제시장에 진출 가능한 유망 작가들을 발굴하고 홍콩 아트신(Art Scene)에 소개를 위해 문화원의 주력 사업 중 하나로 이어갈 예정이다. 매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공모접수를 받는다.

[공모] 주홍콩한국문화원 2026 전시 작가 및 기획자 공모
전시 [공모] 주홍콩한국문화원 2026 전시 작가 및 기획자 공모

주홍콩한국문화원 2026 작가, 기획자 모집 공고 주홍콩한국문화원에서는 2026년 문화원에서 전시할 작가 및 기획자를 모집합니다. 전시 공모 프로젝트는 문화원의 연례 프로젝트인 ‘한국 젊은 작가전(Korean Young Artists Series)’과 더불어 잠재력 있는 한국 작가와 기획자를 홍콩에 소개하는 플랫폼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2026년 1~2회의 공모전시가 진행 예정입니다. 공모에는 a)개별 작가, b)작가 그룹, c)독립 기획자 모두 지원 가능합니다. 전시는 그룹전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①기획자가 선정된 경우 선발된 기획안에 따른 단독 전시, ②개별 작가 혹은 작가 단체가 선정된 경우 문화원이 단체전으로 기획합니다. 응모 서류는 현지와 한국 미술계에 전문성을 가진 홍콩∙한국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할 예정입니다. 공모 결과는 11월 중으로 개별 통지될 예정입니다. 해외에서 전시를 하고 싶은 작가 및 기획자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전시 개요 1. 추진 목적 - 한국-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전시 기획 - 우수한 한국 예술 작품을 홍콩에 소개   2. 전시 기간  2026년 중 약 2개월 전시 ※ 전시 날짜는 추후 조율 예정   3. 전시 장소 주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6-7/F, Block B, PMQ, 35 Aberdeen Street, Central)   ■ 지원 형태 1. 지원 자격 a) 작가 개인 - 한국 국적 - 3회 이상의 전시 경력   b) 작가 단체 - 구성 작가의 50% 이상이 한국 국적이어야 함 - 3회 이상의 전시 경력 - 우수한 한국 예술을 선보이는 전시, 혹은 한국과 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작품 구상   c) 기획자 - 3인 이상의 작가로 구성된 기획안 제출. 전시를 구성하는 작가의 50% 이상은 한국 국적이어야 함 - 3회 이상의 전시 기획 경력 - 우수한 한국 예술을 선보이는 전시, 혹은 한국과 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전시 기획    2. 출품 작품의 종류 회화, 조각, 설치, 뉴미디어 등 출품 작품의 종류에 제한은 없으나, 문화원에서 지원하는 해외 운송비의 제한에 따라 부피가 크고 무거운 작품의 출품은 별도 협의 필요. 미디어 작품의 경우, 기본 문화원 장비 모니터를 제외한 장비 및 테크니션을 제공해주지 않음   ■ 제출 서류 (동일 내용 한글과 영문 두 가지 버전 필요) 온라인 접수: opencall@kcchk.kr - 공모 지원서 (양식 파일 첨부) - 작가/기획자 포트폴리오 (PDF 파일, 20 페이지 이내, 10MB 이내) - 출품 작품 이미지 (JPEG 파일, 2MB 이하), 미디어 아트일 경우 비디오 링크(최대 5MB) - 전시 기획서 (기획자 지원의 경우만)   ■ 문화원 지원 범위 - 주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제공 (전시실 정보 PPT 파일 첨부) - 개별 작가 선정 시 단체전 기획 - 보도자료 배포 등 전시 홍보 - 홍콩 PMQ 레지던시 3박 숙박비 (문화원 상주 복합문화건물) - 작품 왕복 운송비 (약 1300만원 선) - 리플렛, 포스터 등 전시물 홍보 제작비 ※ 작품 운송비와 홍보 제작비는 예산 사정을 고려하여 문화원과 협의 하에 결정 - 전시 개막식 ※ 개막 행사에 기획자는 필수 참가, 작가는 50% 이상 참석해야 함 (예: 작가 3인 중 2인 이상 참석 요망) ※ 개막 행사는 문화원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선정 작가/기획자 의무 사항 - 리플렛 및 홍보물 제작 (기획자 및 작가그룹에 한함) - 전시 설치 및 개막식 참석   ■ 선정 절차 현지와 한국 미술계에 대한 이해가 높은 현직 미술 관계자들로 구성된 외부 심사위원들이 전시할 작가군 선발 혹은 기획안 선정. 공모 결과는 11월 개별 통지 예정.   공모기간: 2025년 9월 30일 23:59 (HKT) 문의: opencall@kcchk.kr 세부사항: hk.korean-culture.org/hk/1071/board/682/read/138643

[전시]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展 개최…동서양을 잇는 추상미학의 대화
전시 [전시]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展 개최…동서양을 잇는 추상미학의 대화

주홍콩한국문화원은 2025년 6월 5일(목)부터 8월 2일(토)까지 고암 이응노 화백 탄생 120주년(2024년)과 박인경 화백의 100세(2026년)를 기념하여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이응노와 박인경이 정착한 파리에 위치한 갤러리 바지우(Galerie Vazieux)와의 공동주최로 기획되었다. 본 전시는 이응노 화백의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대별 작품 30여 점과 박인경 화백의 최근 수묵추상 회화 20여 점까지 총 49점의 다채롭고 폭넓은 작품을 소개한다. 이응노와 박인경 부부가 함께 걸어온 예술적 삶의 궤적과 공통된 예술세계를 짚어보는 전시가 될 예정이다. 1949년 처음 만나 1958년 독일에서 부부전을 열었으며, 1959년 프랑스에 정착한 두 작가는 동양화의 전통을 지키면서도 서양의 최신 미술을 받아들여 각자의 한국적 추상화를 발전시켰다. 전혀 다르지만 두 화백의 작품을 나란히 마주하면 같은 삶을 걸어온 자들만이 지닌 공통된 결을 느낄 수 있다. 자연을 향한 관심, 문자와 글의 조형성 탐구, 여백 없이 채워지는 화면,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긴장감 등이 공통적으로 작품에 드러난다.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에 소개되는 이응노의 문자 추상과 박인경의 글쓰기 회화는 문자와 글의 의미보다는 조형성에 주목한다. 또한 매일의 사생을 바탕으로 그려낸 박인경의 최근 수묵추상 작업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든다는 면에서 이응노의 대표작인 군상 시리즈와 비견된다. 1989년 이응노 화백은 세상을 떠났지만, 동양화의 지평을 넓힌 그의 예술과 정신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여성으로서의 시대적 제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활발한 예술 활동을 할 수 없었던 박인경 화백은 이응노의 작고(作故) 이후 본격적으로 작업에 매진해왔으며, 2025년 현재 백수(白壽)의 나이에도 자연을 관찰하고 붓을 드는 것을 멈추지 않고 있다. 6월 5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는 전시 개막 리셉션이 진행되었으며, 7시에는 갤러리 바지우의 최보영 큐레이터의 전시 투어가 진행되었다. 개막식에는 약 40여명의 미술인 및 일반 관람객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관람하고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문화원 정보

  • 운영시간

    화 - 토 10:00 - 18:00 월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 휴일

  • 대표전화

코리아넷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