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 Date :
2025-08-11
Event Date :
2025-08-07
~
2025-09-20
▲ 포스터 주홍콩한국문화원은 2025년 8월 7일부터 9월 20일까지, 2025년 공모당선전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 작가 단체 ‘버건디(Burgundy)’ 소속 이주영, 김명종, 김정우, 정우진 작가가 참여하며, 정체성과 변화라는 핵심 개념을 ‘문’이라는 상징을 중심으로 다각적으로 탐구한다. 전시 제목 ‘앨리스’,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별주부전에 등장하는 토끼에서 차용된 상징적 존재로, 각기 다른 세계로 진입하는 문을 은유한다. 홍콩의 역사적, 문화적 교차로로서의 상징성에 주목, 관람객이 낯선 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여는 예술적 체험의 장으로서 기획되었다. ▲ 이주영 작가 작품 전시 전경 ▲ 이주영 작가 작품(Overlapping poetry (2025)) 전시 전경 참여 작가 이주영은 언어의 감각적 지연과 반복을 통해 정체성과 소통의 경계를 재사유한다. 영상 작업 《머뭇(Wading Through)》(2025)과 먹지 드로잉 연작 《murmur》(2025)는 불완전한 언어의 속성을 시각화하며 관람객에게 언어의 해방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김명종 작가 ▲김명종 작가 김명종은 혼합 매체를 활용해 현대 사회의 모순과 비정상성을 조명하며, 창작자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번 전시의 신작 《몽영극장: 산수정신당》(2025)과 각기 유교, 불교, 도교를 상징하는 상징하는 세계의 글자가 적힌 네온사인 《유불도 식당》(2025) 시리즈는, 우리가 마주한 순간의 이상향 그 이후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김정우 작가 ▲김정우 작가 김정우는 회화와 물질성에 대한 탐색을 통해 이미지와 실체 사이의 긴장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0》(2025)과 《Fragmented》(2025)를 통해 회화의 구성 요소들을 확장하거나 분절함으로써 관람자가 작품과 직접 접촉하고 감각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체험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정우진 작가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정우진은 인간의 존재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임을 전제로, “정체성”과 “변화”의 과정을 섬세하게 시각화한다. 다양한 재료와 매체를 통해 외부 환경이 인간의 내면에 어떤 흔적과 감정의 진동을 남기는지를 다층적으로 담아낸다.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들 8월 7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는 전시 개막 리셉션이 진행되었으며, 7시에는 전시 설치 및 개막식에 참석한 김명종, 정우진, 김정우 작가의 전시 및 작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개막식에는 약 40여명의 미술인 및 일반 관람객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관람하고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문화원 전시 공모 프로젝트는 잠재력 있는 한국 작가와 기획자를 홍콩에 소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시 공모는 문화원의 연례 프로젝트인 '한국 젊은 작가전'과 더불어 국제시장에 진출 가능한 유망 작가들을 발굴하고 홍콩 아트신(Art Scene)에 소개를 위해 문화원의 주력 사업 중 하나로 이어갈 예정이다. 매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공모접수를 받는다.
-
Post Date :
2025-08-01
Event Date :
2025-08-01
~
2025-09-30
주홍콩한국문화원 2026 작가, 기획자 모집 공고 주홍콩한국문화원에서는 2026년 문화원에서 전시할 작가 및 기획자를 모집합니다. 전시 공모 프로젝트는 문화원의 연례 프로젝트인 ‘한국 젊은 작가전(Korean Young Artists Series)’과 더불어 잠재력 있는 한국 작가와 기획자를 홍콩에 소개하는 플랫폼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2026년 1~2회의 공모전시가 진행 예정입니다. 공모에는 a)개별 작가, b)작가 그룹, c)독립 기획자 모두 지원 가능합니다. 전시는 그룹전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①기획자가 선정된 경우 선발된 기획안에 따른 단독 전시, ②개별 작가 혹은 작가 단체가 선정된 경우 문화원이 단체전으로 기획합니다. 응모 서류는 현지와 한국 미술계에 전문성을 가진 홍콩∙한국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할 예정입니다. 공모 결과는 11월 중으로 개별 통지될 예정입니다. 해외에서 전시를 하고 싶은 작가 및 기획자분들의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 전시 개요 1. 추진 목적 - 한국-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전시 기획 - 우수한 한국 예술 작품을 홍콩에 소개 2. 전시 기간 2026년 중 약 2개월 전시 ※ 전시 날짜는 추후 조율 예정 3. 전시 장소 주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6-7/F, Block B, PMQ, 35 Aberdeen Street, Central) ■ 지원 형태 1. 지원 자격 a) 작가 개인 - 한국 국적 - 3회 이상의 전시 경력 b) 작가 단체 - 구성 작가의 50% 이상이 한국 국적이어야 함 - 3회 이상의 전시 경력 - 우수한 한국 예술을 선보이는 전시, 혹은 한국과 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작품 구상 c) 기획자 - 3인 이상의 작가로 구성된 기획안 제출. 전시를 구성하는 작가의 50% 이상은 한국 국적이어야 함 - 3회 이상의 전시 기획 경력 - 우수한 한국 예술을 선보이는 전시, 혹은 한국과 홍콩 간의 문화 교류를 도모하는 전시 기획 2. 출품 작품의 종류 회화, 조각, 설치, 뉴미디어 등 출품 작품의 종류에 제한은 없으나, 문화원에서 지원하는 해외 운송비의 제한에 따라 부피가 크고 무거운 작품의 출품은 별도 협의 필요. 미디어 작품의 경우, 기본 문화원 장비 모니터를 제외한 장비 및 테크니션을 제공해주지 않음 ■ 제출 서류 (동일 내용 한글과 영문 두 가지 버전 필요) 온라인 접수: opencall@kcchk.kr - 공모 지원서 (양식 파일 첨부) - 작가/기획자 포트폴리오 (PDF 파일, 20 페이지 이내, 10MB 이내) - 출품 작품 이미지 (JPEG 파일, 2MB 이하), 미디어 아트일 경우 비디오 링크(최대 5MB) - 전시 기획서 (기획자 지원의 경우만) ■ 문화원 지원 범위 - 주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제공 (전시실 정보 PPT 파일 첨부) - 개별 작가 선정 시 단체전 기획 - 보도자료 배포 등 전시 홍보 - 홍콩 PMQ 레지던시 3박 숙박비 (문화원 상주 복합문화건물) - 작품 왕복 운송비 (약 1300만원 선) - 리플렛, 포스터 등 전시물 홍보 제작비 ※ 작품 운송비와 홍보 제작비는 예산 사정을 고려하여 문화원과 협의 하에 결정 - 전시 개막식 ※ 개막 행사에 기획자는 필수 참가, 작가는 50% 이상 참석해야 함 (예: 작가 3인 중 2인 이상 참석 요망) ※ 개막 행사는 문화원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선정 작가/기획자 의무 사항 - 리플렛 및 홍보물 제작 (기획자 및 작가그룹에 한함) - 전시 설치 및 개막식 참석 ■ 선정 절차 현지와 한국 미술계에 대한 이해가 높은 현직 미술 관계자들로 구성된 외부 심사위원들이 전시할 작가군 선발 혹은 기획안 선정. 공모 결과는 11월 개별 통지 예정. 공모기간: 2025년 9월 30일 23:59 (HKT) 문의: opencall@kcchk.kr 세부사항: hk.korean-culture.org/hk/1071/board/682/read/138643
-
Post Date :
2025-07-28
Event Date :
2025-08-07
~
2025-09-20
[개막식] 앨리스 •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 (2025.8.7. 6-8 pm) ✨전시 개막식✨ 날짜: 2025년 8월 7일 (목) 오후 6시 - 8시 (오후 7시 아티스트 전시 소개) 장소: 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PMQ B블록 6-7층, 애버딘 스트리트 35번지, 센트럴) 문화원에서는 2025년 공모전에 당선된 한국 아티스트 그룹 버건디(이주영, 김명종, 김정우, 정우진)의 《앨리스 • 거북, 문 너머의 토끼들》 전시가 8월 7일부터 9월 20일까지 개최됩니다. 전시는 ‘정체성’과 ‘변화’라는 두 개념을 ‘문’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교차시켜 탐구합니다. 이 두 개념은 상반되지만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며, 전시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합니다. 정체성과 변화는 인간의 본질과 가치에 깊이 연관되어 있으며, 사회적 실천의 중요한 요소로서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전시를 통해 관객이 ‘문’을 열고 들어가는 경험을 통해 정체성과 변화의 교차를 감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각예술로 풀어내면서, 나아가 새로운 시각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Post Date :
2025-06-09
Event Date :
2025-06-05
~
2025-08-02
주홍콩한국문화원은 2025년 6월 5일(목)부터 8월 2일(토)까지 고암 이응노 화백 탄생 120주년(2024년)과 박인경 화백의 100세(2026년)를 기념하여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이응노와 박인경이 정착한 파리에 위치한 갤러리 바지우(Galerie Vazieux)와의 공동주최로 기획되었다. 본 전시는 이응노 화백의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시대별 작품 30여 점과 박인경 화백의 최근 수묵추상 회화 20여 점까지 총 49점의 다채롭고 폭넓은 작품을 소개한다. 이응노와 박인경 부부가 함께 걸어온 예술적 삶의 궤적과 공통된 예술세계를 짚어보는 전시가 될 예정이다. 1949년 처음 만나 1958년 독일에서 부부전을 열었으며, 1959년 프랑스에 정착한 두 작가는 동양화의 전통을 지키면서도 서양의 최신 미술을 받아들여 각자의 한국적 추상화를 발전시켰다. 전혀 다르지만 두 화백의 작품을 나란히 마주하면 같은 삶을 걸어온 자들만이 지닌 공통된 결을 느낄 수 있다. 자연을 향한 관심, 문자와 글의 조형성 탐구, 여백 없이 채워지는 화면, 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긴장감 등이 공통적으로 작품에 드러난다.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에 소개되는 이응노의 문자 추상과 박인경의 글쓰기 회화는 문자와 글의 의미보다는 조형성에 주목한다. 또한 매일의 사생을 바탕으로 그려낸 박인경의 최근 수묵추상 작업은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넘나든다는 면에서 이응노의 대표작인 군상 시리즈와 비견된다. 1989년 이응노 화백은 세상을 떠났지만, 동양화의 지평을 넓힌 그의 예술과 정신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여성으로서의 시대적 제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활발한 예술 활동을 할 수 없었던 박인경 화백은 이응노의 작고(作故) 이후 본격적으로 작업에 매진해왔으며, 2025년 현재 백수(白壽)의 나이에도 자연을 관찰하고 붓을 드는 것을 멈추지 않고 있다. 6월 5일 오후 6시부터 8시까지는 전시 개막 리셉션이 진행되었으며, 7시에는 갤러리 바지우의 최보영 큐레이터의 전시 투어가 진행되었다. 개막식에는 약 40여명의 미술인 및 일반 관람객들이 참석하여 전시를 관람하고 전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
Post Date :
2025-05-23
Event Date :
2025-06-05
~
2025-08-02
[개막식] 이응노와 박인경: 예술적 삶의 동행 ✨전시 개막식✨ 날짜: 2025년 6월 5일 (목) 오후 6시 - 8시 (오후 7시 큐레이터 투어) 장소: 홍콩한국문화원 전시실 (PMQ B블록 6-7층, 애버딘 스트리트 35번지, 센트럴) 《예술적 삶의 동행》은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장 고암 이응노 화백(1904–1989)의 탄생 120주년과 한국 1세대 여성 화가인 박인경 화백(1926–)의 탄생 100주년 사이의 해를 맞아 기획되었습니다. 문화원과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바지우 갤러리와의 공동 주최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이들이 함께 걸어온 예술적 삶의 궤적과 공통된 예술세계를 짚어보고자 합니다. 전시에서는 이응노의 문자 추상과 군상 시리즈를 포함한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다양한 작업들과, 자연 관찰을 바탕으로 한 박인경의 최근 수묵 추상 회화를 함께 선보입니다.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이들의 예술이 동서양이 공존하는 홍콩에서 새로운 울림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